카테고리 없음

단통법의 의미

순진원 2015. 9. 20. 20:50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학습으로 인해 고정관념을 못버린다는 사실입니다.
IFCI를 별정통신 다단계나 물류네트워크  등 나쁜 다단계와 동일시 하는 이유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이 사실을 덧붙혀야 합니다.

 

통신시장 성장은 국민의 가계부담이 되고 있어 선진국은 이미 이 시장을

소비자에게 돌려줬다는사실, 그래야 국민 부담줄이고 지속 성장이 가능했기 때문이지요.
우리 정부도 이제야 선진국들이 왜, 이 시장을 소비자에게 돌려줬는지 이제야 이해하게 된 것입니다.


국민들은 단통법의 깊은 의미를 모릅니다.그래서 길거리 대리점이 지속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국 Ifci사업을 하고 있는 분들은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얻게 된 것입니다.
정부는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기 워해 노동시장 개혁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맘대로 고용을 결정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고임금 정규직을 줄이고 비정규직 저임금으로 
일자리를 늘리려는 것이지요.  통신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연간 25조의 막대한 이동통신 유통수익
을 소수 대리점들의 독식구조로는 통신분야를  성장시킬 수 없다고 본 것입니다. 


통신분야의 성장은 곧바로 국민들의 가계부담으로 이어져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시장을 소비자들에게 돌려 일자리를 늘리고 소득을 분배시킴으로서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셈이
된 것이지요.  단통법은 시장전환을 가속화 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던  것입니다.


이 깊은 뜻을 모르는 국민들은 소비자마케팅 즉 프로슈머를 이해하지 못하고 제품을 사고 파는 다단계 쯤으로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답답하지만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이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