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LTE란

순진원 2014. 2. 11. 16:50

 

..

LTE란? Long Term Evolution ?? ..

 

LTE란 무엇일까요? 아시나요? Long Term Evolution 이란건요?

왜 다들 LTE란 것에 열광을 하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빛처럼 빠른 속도의 LTE! 일상생활에서 매일 접하지만 의외로 LTE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 많기에.

여러분에게 LTE의 A부터 Z까지! 모든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LTE란 Long Term Evolution의 줄임말로서 3세대 이동통신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기존의 네트워크망과 연동할 수 있어 기지국 설치 등의 투자비와 운용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죠. 2008년 12월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단말기용 LTE칩을 개발하였고, 2009년 12월 텔리아소네라가 삼성전자에서 제작한 LTE 단말기를 통하여 세계 최초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최대 75Mbps의 속도로 1.4G 영화 한 편을 2분 안에 내려받을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는 LTE! 언제 어디서나 영화도 보고 인터넷 서핑도 할 수 있게 된 것은 모두 LTE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해봤습니다. Long Term Evolution (LTE)란 무엇인지 ?...

이동통신 세대 구분의 기준은 바로~ 스피드! 속도! 전 세계 통신업체와 기관의 연합인 국제통신연합(ITU)이 합의를 통해 이동통신 세대를 결정하게 되는데요. LTE는 3G의 속도를 5배 이상?대폭 향상시킨 서비스라는 점에서, 당당히 4G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그럼 1G, 2G는 뭐였지? 기억이 가물가물하시죠? 표를 통해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이동통신의 역사를 짚어드릴게요^^

 

 

 

먼저 LTE란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있던 진화의 과정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뜬금없이 LTE라고 하면 이해가 안되는게 당연한거죠.

 

첫번째는 1세대 라고 말을 한답니다. 1세대: 혁명의 시작!

 

 

 

음성통화밖에 할 수 없었지만, 선 없는 전화기의 등장은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88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죠.

당시 휴대폰은 승용차 한 대 가격과 맞먹는 부의 상징이었습니다^-^

지금의 슬림한 단말기와 비교해 보면 거의 벽돌(?) 수준이라 휴대하기가 불편했겠지만 이동 중에 전화를 쓸 수 있다는

사실은 정말 혁명이라고 부를 만한 일이었죠+_+!

 

처음인만큼 부족한게 많았겠죠. 아날로그 방식의 기술로 통화만이 가능한 기술이 바로

1세대(1G)라고 한답니다. 1세대가 나왔으니 이제 2세대가 나와야겠죠.

 

2세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2세대 이동통신은 CDMA와 GSM으로 표준이 나뉩니다. 1996년 당시 세계 이동통신 업계에서 '변방의 기술'로 치부되던 CDMA 기술이었지만 반대를 무릅쓰고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죠^^ 국산 휴대폰이 해외 수출에 날개를 달고, 수많은 국민들이 휴대폰을 사용하게 된 것도 모두 우리나라가 CDMA를 상용화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는지요?

그리고 작은 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SMS 서비스가 등장, 엄지족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하게 됩니다.?눈 감고도 문자를 보내고, 1004와 같은 가짜 번호로 장난 문자도 보냈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이 당시 가장 큰 인기를 끌었던 단말기는 무엇일까요? 바로 모토로라의 성공신화를 이끌었던 ‘스타텍’입니다. 1996년 출시돼 당시 '세계 최다 판매량', '세계 최초 폴더형 휴대폰' 기록을 세웠습니다. 디자인이 한 손에 들어올 만큼 작고 귀여워서 무려 100만대 넘게 판매되었죠+_+b 또한 휴대폰 번호 앞자리는 011, 016, 017, 019 등 통신사 별로 달랐다는 거~

여러분은 예전에 어떤 앞자리 번호를 쓰셨는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2세대는 문자와 일정 데이터전송이 가능했답니다. 흔히 PCS라는 말을 했었던게 기억이 나는군요.

예전에 그런 핸드폰도있었죠. 걸리면 걸리는 걸리버... 아는분이 계시려나..

별칭은 걸어도 안걸리는 걸리버로 친구들과 불렀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

 

LTE란것을 소개하다 잠시 옛기억에 빠져들었군요.. .. 아무튼! 다음은 바로 지금 사용중인

3세대(3G) 기술이랍니다. 이경우는 위에 2세대에서까지 하던 모든것을 하면서

추가적으로 영상통화까지 가능해지면서 데이터 전송속도가 좀 빠르게되었답니다.

 

전송속도가 빨라지고, USIM 기술이 도입되는 등 기술 진화가 눈에 띕니다. 휴대폰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이 등장했죠. 영상전화, 인터넷 등 다양한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덕분에 이동 중에도 TV와 영화 등을 볼 수 있고 심지어 업무까지 처리할 수 있게 되었죠. 다양한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터치 기능이 보편화되기도 했고요^^

 

 

 

. 3세대 스마트폰의 등장

..

..

..

3세대를 대표하는 단말기는 뭐니뭐니해도 애플사의 아이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감성적인 디자인과 앱 스토어라는 개념은 많은 제조사에게 큰 영향을 끼쳤죠.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LG전자에서는

옵티머스 시리즈 등이 출시되면서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게 됩니다.

 

..

4세대 :초고속데이터 시대로!

 

LTE란 것을 이용하면...얼굴이 저런가요..ㅡㅡ;

아무튼! LTE란 3세대를 넘어서 4세대 통신망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듯합니다.

4G는 3G 기술 중에서도 WCDMA가 진화한 기술입니다. 2009년 12월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최초로 상용화되었죠.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7월 LG유플러스와 SKT가 상용화해 현재 서비스 중입니다.

이론상의 속도를 따진다고 한다면 아직 LTE란것이 완벽하지 않다고 하지만, 이론을 따라가는 실제가

얼마나 될지는 모르기때문에 지금도 커버리지 지역만 잘 된다면 완전 좋겠죠 ㅋㅋ

 

 

 

LTE는 3G보다 최대 5배 빠른 속도를 제공해서 이동이 잦고 바쁜 한국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죠^^ 참고로 U+LTE는 3월 말까지 ‘세계 최초 LTE 전국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 중입니다. (현재 전국 84개시에서 이용가능) 여러분의 많은 기대 부탁드릴께요지금까지 Long Term Evolution(LTE)란 걸 소개를 해봤어요~